[미주통일전략연구소] 대통령의 천안함 사태 관련 '대국민 담화'에서 김정일을 호칭, 혹은 거명하지 못한 것은 아쉽다.
남한 대통령이, 남한의 병사들이 떼죽음을 당한 북한의 테러에 대해 그것은 북한 인민군 총사령관이 지령했기 때문에 우리 남한은 국군통수권자가 북한의 인민군 총사령관을 지목, 거명하는 것이 적절했다는 것.
또, '대국민 담화' 타이틀 자체도 잘못 되었다. 이런 경우는 [대국민담화]가 아닌 [대북 경고문]이어야 한다. 천안함 테러를 당한 사건은 북한의 공격이었기 때문에 그 주체는 북한 인민무력부 및 인민군 총사령관이기 때문에, 이명박 대통령은 김정일을 대상으로 경고문을 발표했어야 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대통령 "北 무력침범땐 즉각 자위권 발동"(종합)
 |
이 대통령, `천안함' 대국민 담화
(서울=연합뉴스) 조보희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의 공격으로 드러난 천안함 침몰 사태와 관련, 24일 오전 전쟁기념관에서 대국민 담화를 갖고 국가원수이자 국군통수권자로서의 공식 입장과 대응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2010.5.24 jobo@yna.co.kr |
전쟁기념관서 대국민담화.."한반도정세 중대 전환점" "천안함침몰, 대한민국 공격한 北군사도발"..김정일 무언급 "北, 사과.관련자 즉각 처벌해야"..유엔안보리 회부 "北선박, 우리해역 이용 불가..남북 교역.교류 중단"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에서 "앞으로 (북한이) 우리의 영해, 영공, 영토를 무력침범한다면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앞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고 적극적 억제 원칙을 견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 행한 담화에서 이같이 밝히고 "북한은 대한민국과 국제사회 앞에 사과하고 이번 사건 관련자들을 즉각 처벌해야 한다"며 "이것은 북한이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기본적 책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정세가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전제,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나는 북한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단호하게 조처해 나가겠다"면서 "지금 이 순간부터 북한 선박은 남북해운합의서에 의해 허용된 우리 해역의 어떠한 해상교통로도 이용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이어 "남북간 교역과 교류도 중단될 것"이라며 "천안함 침몰은 대한민국을 공격한 북한의 군사도발이다. 천안함을 침몰시키고 고귀한 우리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이 상황에서 더 이상의 교류.협력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영유아에 대한 지원은 유지할 것"이라면서 "개성공단 문제는 그 특수성을 감안하여 검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천안함 대국민 담화 지켜보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24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한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텔레비전을 통해 지켜보고 있다. 2010.5.24 utzza@yna.co.kr | 또 "북한은 '3.26 천안함 사태'로 유엔헌장을 위반하고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기존 합의를 깨뜨렸다"며 "정부는 관련국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이 사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책임을 묻겠다. 많은 나라들이 우리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군사적 대결이 아니다.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이다. 한민족의 공동번영이다. 나아가 평화통일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도 이제 변해야 한다. 무엇이 진정 북한 정권과 북한 주민의 삶을 위한 것인지, 현실을 직시하여 용기있는 결단을 내려야 할 때"라며 "한반도를 더 이상 동북아의 위험지대로 내버려둬선 안된다. 남북이 이 문제를 주도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군도 잘못이 있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안보태세를 확고히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군의 기강을 재확립하고 군 개혁에 속도를 내겠다. 군 전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밝힌 뒤 "굳건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미연합방위태세를 더 한층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yn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