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발표전까지 고민 "마지막 여지 남긴 것"
탈북자 단체 등은 불만 "金책임 추궁했어야"
이명박 대통령은 24일 대국민 담화에서 '김정일'을 직접 거명하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책임을 언급한 부분에서 '북한 당국'이란 표현을 쓰며 "사과하고, 관련자들을 즉각 처벌하라"고 했다. 또 담화문 말미에 "이제는 변해야 한다"며 북의 변화를 촉구하면서 '북한 정권'이란 표현을 썼다. 전날 이동관 홍보수석이 "김 위원장 이름을 거론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 것과 달랐다.탈북자 단체 등은 불만 "金책임 추궁했어야"
청와대는 담화문 최종 원고가 나온 이날 오전까지 김정일을 거론할지 말지, 어느 부분에서 거론할지 등을 놓고 고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단순히 김정일 개인을 거명하는 것보다 그의 아들, 군부를 총칭해서 변화를 촉구한다는 의미에서 북한 정권이란 표현이 훨씬 의미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김정일을 직접 거명하지 않은 것은 남북관계에 '마지막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보면 된다"고 했다. 그는 "오늘 담화 장소로 택한 전쟁기념관도 전쟁과 평화라는 2개의 의미를 다 갖고 있지 않으냐"며 "김 위원장을 거명하지 않은 함의도 여기에 있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이름을 거론할 것처럼 하다가 결국은 하지 않는 수를 택했는데, 이 자체가 북에 보내는 일종의 메시지라는 것이다.
그러나 탈북자들과 보수 인사들은 "김정일의 이름을 직접 거명하며 책임을 추궁했어야 한다"며 불만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