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가 극심한 배고픔 때문에 인육까지 먹는 장면을 목격했으며, 자신이 평소 알고 지내던 한 엄마가 식량난으로 자식을 살해한 뒤 그 인육을 팔
아서 옥수수 13㎏을 사는 것도 보았다고 말하자 일부 의원들은 눈물을 흘렸다.
다른 탈북자 김광일 씨는 자신들이 수용소에 있어야 하는 이유도 모른 채 성분이 나쁜 집안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갖은 고문과 강제 노역에 시달렸다며 수용소 내 상황을 자세하게 전했다.
탈북자 증언을 들은 의원들은 21세기 지구상에서 그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믿기 어렵다는 표정이었다.
한 상원의원은 "현재 의회에서 이탈리아와 북한의 경제 교류에 관한 법안을 심사 중인데 이번 청문회가 법안 심사에 참고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7일 열린 공개 세미나에서 첫 발표자로 나선 루이스 대학의 안젤라 델 벡키오 국제인권학 교수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은 명백하지만 해결 수단이 많지 않은 것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방북 경험이 있는 제리 모렐리니 의원은 "해법은 북한 내부에서 나와야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으며, 국제관계 전문잡지 에퀴리브리의 스키보토 편집장은 천안함 사건과 관련, 한국 정부의 조치가 아주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반인도 범죄 조사위원회 도희윤 공동대표는 북한에 경제적 도움을 주는 것이 정당한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현재로서 대북 원조는 오히려 인권 유린의 수단이 될 수 있어 반대한다"고 답했다.
청문회와 세미나를 주관한 메테오 메카치 하원의원은 연합뉴스에 "이탈리아 정계에서 북한 문제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됐다"며 "현재 이탈리아 정부가 북한과의 경제 협력 조약을 심사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며,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와 적절한 조치가 취해진 후에 경제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마=연합뉴스)